공매도 전면 금지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나면서, 급등했던 종목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 나타났다. 특히 2차전지 관련 주식들이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주가는 시장의 펀더멘털과 업황에 따라 움직이며, 공매도의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금지 첫날인 지난해 11월 6일 상한가로 직행했던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각각 38.3%, 21.8% 하락했으며, 포스코퓨처엠과 포스코DX 역시 각각 12.1%와 44.9%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하락은 고평가와 지속적인 실적 부진이 주효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에코프로비엠은 2021년과 2022년 동안 각각 1150억원과 380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고속성장을 했으나, 2023년에는 1560억원으로 급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2차전지行业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그들이 고평가 지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공매도가 금지된 이후에도 여전히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로 ‘고평가 해소’를 꼽고 있다. 한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183배에 달하는 주가이익비율(PER)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해외 업체 평균인 22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라고 언급했다. 이는 공매도가 없더라도 주가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임을 나타낸다.
또한, 바이오 관련 주식들은 신약 개발 등의 모멘텀으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반면, 2차전지주들은 아직까지 고평가 상태에서 기업 실적이 뒷받침되지 못해 주가가 하락하는 방식이 반복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공매도 금지가 비친화적인 시그널로 작용하고 있으며, FTSE 러셀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한국이 선진시장에서 관찰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공매도 금지 조치는 거래의 유동성과 가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되고 있으며, 자본 시장의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매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결국, 한국 주식 시장에서 코스피와 코스닥의 성과가 주요국에 비해 저조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코스피는 0.26% 상승해 제자리걸음에 그쳤고, 같은 기간 S&P500, 닛케이225, 항셍지수가 각각 22.6%, 18%, 21.4% 상승하는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