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역대급 수익률 기록…15%의 성과, KIC는 23%

국민연금공단과 한국투자공사(KIC)가 지난해 각각 15%와 23%에 달하는 역대급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수익률은 원화 약세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달러화 기준으로 환산하면 실질적인 수익률은 한 자릿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2024년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이 1213조원에 달하며, 수익금은 약 16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국민연금의 수익률은 15%(잠정 기준)로, 1988년 기금이 설치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갱신한 성과이다. 연평균 수익률은 6.82%로 향상되었으며, 누적 운용수익금은 738조원에 달하고 있다.

자산군별 수익률을 살펴보면, 해외 주식에서 34.32%, 해외 채권 17.14%, 대체투자 17.09%의 수익률을 달성했으나, 국내 채권은 5.27%였고 국내 주식은 6.94%의 손실을 기록했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지난해 경기 둔화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 대선 등 어려운 투자 환경 속에서도 국민연금이 성과를 냈던 것은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글로벌 운용사와의 협력을 통한 우량 투자 기회 발굴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IC는 지난해 달러화 기준으로 8.4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KIC는 2005년 설립 이후 누적 운영 수익이 939억 달러, 연환산 수익률은 4.75%에 달한다. 자산군별 수익률(달러화 기준)은 해외 주식에서 18.83%, 해외 채권에서 -0.19%, 대체투자에서 8.06%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KIC의 자산운용 비중은 전통자산 78.1%, 대체자산 21.9%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KIC의 원화 환산 수익률이 지난해 23.68%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이는 지난해 정치적 리스크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으로 상승하면서 원화 약세가 수익률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KIC는 외환보유액을 운용하고 있으며, 국내 주식에서 손실을 기록한 국민연금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국민연금의 수익률이 원화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실제 달러화 기준으로 봤을 때는 그다지 큰 성과가 아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KIC의 달러화 기준 수익률과 원화 기준 수익률의 차이를 감안할 때, 국민연금의 수익률 또한 원화 기준에서의 수익률이 15%라면 달러화로 환산할 경우실질적으로 한 자릿수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국민연금은 전체 기금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운용하고 있어 미국 시장의 호황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원화 약세가 수익률을 긍정적으로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