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텍이 50년 이상의 화공기기 전문성을 바탕으로 그린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박건종 한텍 대표는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텍은 국내 플랜트 기자재 업계에서 대체 불가능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을 통해 그린에너지 트렌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텍은 1973년 한국비료 기계장치사업부로 시작된 화공기기 제조 전문기업으로, 1994년 삼성그룹에 인수되어 삼성정밀화학으로 이름을 바꾼 후 1998년에 독립 법인으로 설립됐다. 이 회사는 티타늄, 지르코늄 등 비철금속 특수 소재를 다루며 우수한 설계와 제조 기술로 성장을 이어왔다. 현재는 다수의 해외 에너지 회사들과 협업하여 글로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회사의 주요 사업은 정유, 석유화학, LNG, 비료 등 플랜트 건설에 필수적인 화공기기를 공급하는 화공기기사업과 산업용 초저온가스를 저장하는 탱크사업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질소, 산소, 수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 다양한 가스 저장탱크를 제조하여 산업에 기여하고 있다.
박 대표는 상장을 통해 기존 사업 부문의 고부가가치 기기를 제작하고,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 강화에 맞춰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겠다고 전했다. 한텍은 글로벌 플랜트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마진율이 높은 비철금속 특수소재에 집중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노후 플랜트의 증가로 인해 설비 교체 수요도 공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미국에서 LNG 수출 제한이 해제되며 공격적인 수주 활동을 전개할 기회를 확보했다. 트럼프 행정부 첫 임기 동안 약 8000만 달러 규모의 LNG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주했던 경험이 있다. 그린에너지 시대에 발맞춰 친환경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한텍은 액화이산화탄소(LCO2) 저장용기 사업을 진행 중이며, 2026년 첫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5000억 원 규모의 입찰에 참여할 계획이다.
또한, 한텍은 국내 최초로 암모니아 저장용 탱크 제작에 성공했으며, 지난해부터 수주를 시작했다. 액화수소 저장용 탱크 사업도 추진하여 초대형 액화수소 저장용기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상장을 통해 친환경 신규 사업 수주 포트폴리오를 확대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확보된 자금은 핵연료봉 저장장치와 액화이산화탄소 저장용기 개발을 포함한 신사업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텍은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공모가는 주당 9200원에서 1만800원으로 설정되었다. 이후 11월 6일부터 7일 사이에 일반청약을 실시하고, 3월 중 상장할 예정이며,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