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육 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현재는 기대 이하의 판매와 자금 조달 난항 등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싱가포르의 식품 기술 스타트업들은 세포 배양 및 미생물 발효 기술의 혁신을 통해 이 산업의 회복을 꾀하고 있다. 현재 대체육과 유제품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7을 차지하는 상황이며, 싱가포르는 대부분의 농산물을 수입해야 하는 입장에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식량 안보를 높이려 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2020년에 세포 배양 고기를 판매할 수 있는 첫 국가로, 이후 이스라엘과 미국도 이를 따랐다. 우마미 바이오웍스(Umami Bioworks)와 같은 스타트업들은 다양한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대체육 제품을 연구하고 혁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 스타트업은 미국과 일본에서의 사업 확장에 이어 올 초에는 미국에서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캐비어 제품을 발표했다. 우마미 바이오웍스는 올해에 미생물 세포를 이용해 기르는 장어 구이를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산업 전반에 걸쳐 부진한 매출 실적은 여전히 큰 부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2024년 대체 단백질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11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으나, 이는 2023년의 15억 달러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또한, 대체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복 구매가 저조하여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대체육 스타트업들은 생산 비용 절감과 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법적 제도를 개선하고, 협업을 통한 자원 공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코소르티아(Mycosortia)는 두부 제조의 부산물인 오카라를 발효시켜 높은 단백질 및 섬유질이 풍부한 분말로 가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업들은 고객들에게 최소한의 가공이 이루어진 건강한 대체육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펀딩 상황은 다소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혁신 식품에 대한 투자가 2024년에 85% 증가하여 2억 4천만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대에도 불구하고 자금 조달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싱가포르가 좋은 실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인구가 600만 명이라는 한정된 시장 규모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장하기 어려운 점은 큰 도전이라고 말한다.
싱가포르의 혁신적인 대체 단백질 산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투자자들이 더 많은 자금 지원을 통해 이 산업이 규모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업계는 대체 단백질에 대한 규제와 생산 축소로 인해 회복의 길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개혁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결국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대체육 시장을 위한 규제 모델로 자리 잡아야 하며, 이로 인해 스타트업들이 다수의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