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 속 물가 상승,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커져

한국은행이 올해 물가상승률을 1.9%로 전망했으나, 최근 물가 움직임은 심상치 않다. 경기 침체 양상 속에서 소비자 물가가 2%대에 다시 진입하고, 생활물가가 정체되면서 여러 전문가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의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원재료 가격 상승과 환율 문제로 물가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생활필수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한국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7% 상승한 122.03을 기록했다. 이는 경기 부진으로 인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했음에도 여전히 물가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 부진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과 농수산물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 상승세에 더욱 불을 지피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월에 2.2%를 기록하면서 5개월 만에 2%대에 진입한 것은 눈여겨볼 만한 점이다. 특히 작년 10월 1.3%로 바닥을 찍은 뒤, 11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이러한 소비자물가의 움직임은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오른 것과 연관되어 있으며,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압력을 가한다.

현재 생활물가는 평소처럼 쉽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보고에 따르면, 1년 전과 비교할 때 배추와 무의 소매가격은 각각 36.2%, 80.4% 상승했다. 이러한 가격 급등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무, 양배추, 당근 등 4개 품목에 대한 할인 행사를 연장하고, 할당관세를 통해 민간 수입을 유도하기로 했다. 이는 물가 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도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한성대학교 김상봉 경제학 교수는 “저성장이 지속되는 사이에 높은 물가가 유지되고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이 이미 진입했다는 의견이 학계에서 나오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또한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생필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물가 상승률만큼이나 물가 수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항상 불어나는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은 커지며, 특히 원화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수입물가 자극 우려 역시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이 계속된다면,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향후 경제 정책 방향과 물가 변화가 어떻게 이어질지 지켜보아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