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동안 여러 상장 기업들이 인수한 자산의 가치 하락을 반영해 대규모 손실인식, 즉 ‘빅배스’를 단행했다. 특히 유통, 화학,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업들이 인수 당시 지나치게 높은 금액을 지불한 자산들의 손상평가를 실시하며 문제를 드러냈다. 이러한 손실에는 신규 리더십 교체와 회계 연도 결산 과정이 큰 역할을 했으며, 전반적으로 영업외이익 부문에서 손실이 두드러진 상황이 나타났다.
이마트는 작년 4분기에 영업적자 771억원을 기록했지만, 일회성 인건비를 조정하면 실제로는 영업이익이 1120억원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순손실은 5963억원에 달하며, 이는 인수한 지마켓의 영업권 손상차손 2691억원이 큰 영향을 미쳤다. 2021년에 3조4000억원을 투자해 인수한 지마켓의 가치는 크게 하락했다.
가톨릭대학교 회계학과의 김범준 교수는 “시장가치보다 과도한 인수가는 매년 재검토해야 하며, 장부가치 이하로 하락할 경우 손상차손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장기간 적자로 고통받는 기업들이 최근 빅배스를 발표해 신용 등급에 대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손상차손이 회계에 반영되면서 순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상황이다.
롯데케미칼은 작년 4분기 영업손실 2346억원을 기록했으나, 순손실은 1조1207억원에 이르렀다. 이는 2022년에 인수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주가가 절반으로 떨어지면서 발생한 결과다. 한화솔루션은 개별자산 매각을 통해 일회성 이익 1210억원을 기록했지만, 순손실은 1315억원에 달하며 REC실리콘의 손상차손 600억원이 큰 몫을 차지했다.
유통업체 롯데쇼핑도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1550억원에도 불구하고 순손실이 1조64억원에 이르렀다. 이는 롯데하이마트의 영업권 손상차손 2600억원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모레퍼시픽과 스카이라이프도 각각 손상차손으로 수천억원의 손실을 반영하며 전체적인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
이번 빅배스 현상은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있으며, 과거 공격적인 인수 전략이 갈수록 고통의 원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접근은 향후 경영 전략 변화와 함께 신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봐야 하며,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고민거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