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1월 매출 36% 성장…지진과 설 연휴에도 강세 지속

대만의 반도체 제조업체 TSMC(반도체 제조 회사)가 지난달 매출에서 36%의 성장을 기록하며, 엔비디아를 비롯한 여러 주요 클라이언트를 위한 칩 생산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TSMC의 1월 매출은 2,933억 대만달러(약 8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수치다. 이는 지난해 4분기 38.8%의 성장률에 비해 약간의 둔화가 있었지만, 음력 설 연휴와 지진으로 인한 영향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진단했다.

TSMC는 1월 21일 대만에서 발생한 진도 6.4의 지진으로 인해 일부 생산 중인 웨이퍼를 폐기해야 했다. 이에 따라 TSMC는 올해 1분기 매출 예상치를 250억~258억 달러로 조정했다. 또한, 보험금 청구액을 제외하고 53억 대만달러의 손실을 1분기 재무제표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SMC의 수익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가 제시한 1분기 총 이익률은 57~59%, 영업 이익률은 46.5%~48.5%로, 이는 지난해 4분기 발표된 59%의 총 이익률과 49%의 영업 이익률과 유사한 실적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수입에 대한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서 TSMC의 전략적 대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TSMC는 오는 10일과 11일 미국 애리조나에서 이사회를 열 예정이며, 이번 회의에서 반도체 정책에 대한 투자 대응이 주요한 안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러한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날 TSMC의 매출 발표는 인공지능(AI) 반도체 투자에 대한 시장의 심리를 완전히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으로 언급되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와 같은 관련 기업들의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SK하이닉스는 2.41%, 한미반도체는 6.04% 감소했다. 그러나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3.41% 상승하며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기도 했다. 소부장 주식들도 강세를 보이며, 하나머티리얼즈와 원익QnC는 각각 17.34%와 8.42% 상승했다.

TSMC의 지속적인 성장세는 반도체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으며, 향후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된다. 반도체 산업이 당면한 여러 도전 과제 속에서도 TSMC의 전략적 결정은 향후 업계의 전반적인 분위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