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중앙은행, 성장 둔화를 위한 금리 인하 결정

인도의 중앙은행인 Reserve Bank of India(RBI)가 거의 5년 만에 첫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경제를 활성화할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금요일 라이브 방송에서 RBI 총재인 산자이 말호트라는 기준금리를 25bps 인하해 6.25%로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금리 인하는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시장에서 예상되었던 바와 일치한다.

RBI는 2026 회계연도에 대한 실제 GDP 성장률 전망을 6.7%로 설정하고, 인플레이션률을 4.2%로 조정했다. 현재 회계연도인 올해 3월 종료를 기준으로 한 실제 GDP 성장률은 6.4%로, 이는 4년 만에 최악의 성장세이며, 이전의 6.6% 전망에서 하향 조정된 수치이다. 인플레이션율은 4.8%로 유지됐다.

이 기준금리는 지난 2년간 6.5%로 유지되어 왔으며, 이는 국내 인플레이션이 중앙은행의 중기 목표인 4%를 초과하는 상황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도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은 10월 최고조에 달한 후 점차 완화되어 현재 중앙은행의 허용 한도를 넘지 않는 수준인 5.22%에 이르고 있다.

인도 정부는 경제 성장이 9월 분기 동안 예상치를 크게 밑돌자 연간 실제 GDP 예상치를 계속 하향 조정해왔다. 이 시기가 인도의 경제 성장률 5.4%를 기록하며 최근 2년 간의 최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성장 둔화가 심각해지면서, 최근 환율이 사상 최저 수준에 도달한 루피화에 대한 금리 인하는 추가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RBI는 이러한 상황에서 외환 시장에서 급격한 외국 자본 유출을 방지하고, 통화의 지속적인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대규모 개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환율 안정을 위한 중요한 조치로 여겨진다. 중앙은행은 앞으로도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인플레이션 목표를 준수하기 위해 지속적인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금리 인하는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지만, 외환 시장의 변동성을 감안할 때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는 인도 경제가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라는 이중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