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식형 펀드는 주식 시장의 글로벌 리더인 미국에 상당한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3일까지 미국 주식형 펀드에는 총 11조6185억원이 순유입되었으며, 이는 다른 해외 주식형 펀드에서 발생한 7167억원의 순유출과 비교할 때 매우 두드러진 성과다.
미국 주식에 대한 자금 집중은 나스닥 지수가 올해 30% 이상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올해 상승률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미국 주식형 ETF가 차지하고 있다. KODEX 미국서학개미 ETF는 무려 96.58% 상승했고, HANARO 글로벌생성형AI액티브 ETF도 86.40% 오른 것으로 집계되었다.
미국을 제외한 국가에서는 인도와 일본 주식형 펀드에서만 순유입이 발생했다. 인도 주식형 펀드는 올해 1조1125억원이 유입되었으며, 최근 한 달간에는 868억원이 유출되었지만, 연말까지는 1조원의 순유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증시는 9월까지 급등하다가 4분기 들어 한풀 꺾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대표 주가지수인 센섹스는 연초 대비 18.76% 상승한 후 최근 8% 가량 하락하였다. 이는 인도의 높은 경제 성장률 덕분에 해외 자본이 유입되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상승세가 주춤한 상황이다.
일본 주식형 펀드는 지난해 750억원이 순유입되었고, 닛케이 지수는 올해 17% 이상 상승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 한 달간에는 426억원이 빠져나가면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일본 증시는 기업 실적 개선과 일본은행의 양적완화 정책 덕분에 상승세를 타다 금리인상 기조로 인해 상승세가 멈춘 상황이다.
반면, 가장 큰 자금 유출을 기록한 것은 중국 주식형 펀드로, 1억6694억원이 빠져나갔다. 베트남 주식형 펀드도 2047억원, 브라질 주식형 펀드에서 136억원이 유출되었다. 중국 주식은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중순에 발표된 경기 부양책 이후에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JP모건은 내년 중국 시장의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며, 관세 우려와 달러 강세가 아시아 신흥국 증시에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