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 격화됨에 따라 중앙아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심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 지원 기업들이 미국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 경로를 재조정하기 위해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은 중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오래전부터 노력해왔으나, 실질적으로는 지역에서 그 입지가 제한적이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점차 중국을 향해 눈을 돌리고 있으며, 러시아를 대신하여 중국과의 무역과 투자 관계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도 많다. 중국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다섯 개 중앙아시아 국가의 주요 무역 파트너와 외국인 투자자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의 중요한 거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2023년 시진핑 주석이 중앙아시아 정상들과 처음으로 대면 정상 회담을 개최하고, 양국 간의 투자 및 무역을 증진할 것이라고 약속한 점은 이러한 관계의 상징적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미국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과거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해 과소평가되었던 미국의 전략은, 현지 국가들이 중국을 통해 새로운 경제적 가능성을 모색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무역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기록적인 948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중앙아시아가 지난 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달성한 40억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중앙아시아는 중국에 주로 자연자원과 농산물을 공급하며, 중국은 기계, 전자제품, 차량 등의 제조업 제품을 중앙아시아로 수출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중앙아시아와의 교역에서 중국의 수출품 중 기계 및 전자 제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지난해 중국과의 교역액에서 438억 달러로 2030년까지 연간 400억 달러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뒤이어 키르기스스탄이 227억 달러, 우즈베키스탄이 138억 달러 등을 기록했다. 특히, 키르기스스탄의 중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30배 이상 증가하며, 양국 간 무역 규모는 2030년까지 4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미국의 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아시아에서의 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와 재생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BYD와 같은 중국의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미 중앙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였고, 우즈베키스탄에 대규모 공장을 세우는 등의 투자 활동을 통해 지역의 공급망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국제 제재와 내부 정치적 문제로 인해, 중국은 중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이 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이 러시아와의 거리 두기를 시작하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경제적 필요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주목을 중국 쪽으로 돌리고 있으며, 이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변화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영향력 감소를 보여주는 동시에, 중국의 중앙아시아 계획이 한층 더 확고해지는 계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