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오스PE, 3천억 규모 중소·중견기업 M&A 펀드 조성 계획 발표

헬리오스프라이빗에쿼티(헬리오스PE)가 3000억원 규모의 인수합병(M&A) 펀드를 조성하여 중소 및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M&A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헬리오스PE는 반도체, ICT, AI 등 첨단 IT 산업에 대한 투자에 특화된 사모펀드로, 그들의 이번 펀드 프로젝트는 중소기업의 가업 승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헬리오스PE는 지난 25일 산업은행의 회수시장 활성화 지원 펀드의 M&A 부문 위탁운용사로 선정되었다. 이를 통해 헬리오스PE는 산업은행으로부터 600억원의 출자를 받게 되며, 조성될 펀드의 60% 이상은 M&A에, 또한 60% 이상을 중소 및 중견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조건이 붙어 있다.

헬리오스PE는 앵커 투자자를 유치해 진행 중인 ‘IBK성장M&A펀드 2차’ 출자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며, 다양한 연기금 및 공제회의 금융기관 출자사업에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들은 연말까지 총 3000억원을 결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헬리오스PE는 이번 M&A 펀드를 통해 고령화로 인한 창업주 가업의 승계 딜을 주로 발굴할 방침이다. 또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에 대한 그로쓰(Growth) 투자도 병행하여 기업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번 M&A 펀드는 헬리오스PE의 10호 펀드로, 지난해 상반기에 조성된 첫 블라인드 펀드인 9호 펀드와 연계되는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9호 펀드는 1070억원 규모로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펀드를 통해 헬리오스PE는 자율주행 로봇 기업 모비어스에 150억원, MSP 기업 클루커스에 100억원을 투자하였다. 9호 펀드의 70% 이상이 소진됨에 따라 1년여만에 10호 펀드를 모집하게 된 것이다.

전제모 헬리오스PE 대표는 IMM 출신으로 2018년에 회사를 설립하였으며, 이후 이동통신 장비 업체 이노와이어리스를 LIG그룹에, 반도체 테스트 부품 제조업체 ISC를 SKC에 성공적으로 매각하였다. 특히 ISC 매각에서는 M&A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도 2년 3개월 만에 2배에 가까운 수익을 기록하며 연환산 IRR(내부수익률) 36%를 달성하여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현재 헬리오스PE는 2020년 5월 결성된 3호 펀드를 청산 중이며, 이 펀드의 예상 IRR은 45%에 달하고, MOIC(원금 대비 수익률)는 3배에 이르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헬리오스PE의 이번 신규 M&A 펀드는 중소기업의 성장 및 활성화에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