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스피 중형주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들어 중형주 지수는 6.19% 상승하며 대형주(4.28%)와 소형주(3.81%)를 초과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특정 업종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며 대형주에서 중형주로 자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방산, 원전, 조선 관련 주식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중형주 대장주인 한화시스템은 방산 업종의 호황 덕에 주가가 31.35% 상승했다. 같은 맥락에서, 두산그룹의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로보틱스 또한 원전과 로봇 분야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기록하며 각각 27.82%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한화그룹은 방산과 조선 부문에서 수혜를 받아 주가가 42.46% 상승하였으며, 이는 트럼프 리스크의 여파가 적은 사이클에 해당한다.
또한 내수주들도 주식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CJ의 내수 사업이 많아 17.92%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롯데지주는 8.15% 상승했다. 이마트(18.76%), 신세계(9.87%), 롯데쇼핑(20.56%), 현대백화점(14.68%) 등의 주요 내수주 역시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국회에서의 상법 개정안 통과 소식도 중형주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이 안은 주주와 경영진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주회사 할인율을 줄일 수 있는 조치로, 주주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가 탄력받았다.
내달에는 시가총액 조정이 예정되어 있어 대형주에서 중형주로 새롭게 편입될 종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수 변경 전후에는 이들 종목의 주가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과거 통계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4년 동안 대형주에서 중형주로 리밸런싱된 종목들은 평균적으로 5.9%포인트 상승한 반면, 대형주에서 이탈한 종목들은 같은 기간 동안 코스피 수익률을 3.6%포인트 하회해 시험적인 성과가 있었다.
한편, 대형주에서 중형주로 이동할 후보군으로 포스코DX, 현대제철,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코스모신소재, 금양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매력적인 종목들이 중소형주 투자자들에게 유입될 자금이 약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중형주가 트럼프 리스크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강세를 보임에 따라 방산, 원전, 조선 및 내수 업종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내달 시가총액 조정이 완료되면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