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의 수입품에 대한 대규모 세금이 곧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세금은 다음 주 시작될 예정이며, 한 달 간의 지연을 거쳐 정해진 일정대로 진행된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이러한 조치를 강행한다면, 각 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할 것이며, 주마다 크게 달라질 것이다.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주들은 당연히 절대적인 금액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며, 텍사스와 캘리포니아가 그 예다. 하지만 많은 주들이 북미 경제 파트너와의 거래에 큰 의존을 하고 있어 지역 경제에 충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에 대한 세금으로 인한 지속적인 타격과 겹쳐져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예를 들어 몬타나주는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수입의 94%가 이들 국가에서 이루어진다. 렌딩트리의 수석 신용 분석가인 맷 슈울즈는 “우리는 미국이지만 각 주는 각각의 독립된 경제체로, 유사한 점도 있지만 매우 다른 점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수입품에 대한 세금이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소비자의 재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주의 무역 관계는 경제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미국 경제의 총생산량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각 주가 외국과의 무역 관계를 통해 지역 경제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역 의존도가 각 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필연적으로 크다.
트럼프의 북미 파트너에 대한 세금과 세계 다른 무역 파트너에 대한 보복 세금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는 렌딩트리로부터 제공받은 것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주의 수출 및 수입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각 주별 수출입 품목의 구체적인 분석 또한 중요하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주로는 몬타나에 이어 뉴멕시코가 77%의 수입이 캐나다, 멕시코, 그리고 중국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하와이는 13%, 뉴저지는 21%, 메릴랜드는 23%로 이들 국가에서의 수입 의존도가 가장 낮다.
자료에 따르면 몬타나는 자동차 부품과 냉동 딸기, 뉴멕시코는 절임 할라페뇨와 복강 내 수술 장비, 그리고 버몬트는 커피 원두와 산업용 전기 장비를 수입하고 있다. 이러한 품목들은 대부분 미국 내의 어떤 상점에서든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주마다 특정 국가로부터의 수입 비율을 살펴본 결과, 캐나다에서 수입이 가장 많은 주는 몬타나(92%), 메인(69.4%), 버몬트(68%), 노스다코타(64%) 순이었다. 에너지가 캐나다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멕시코에 대한 수입이 많은 주로는 뉴멕시코(41%), 미시간(40.3%), 텍사스(37.3%) 등이 있다.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많은 주는 캘리포니아(27%), 뉴멕시코(26.4%), 네바다(22%) 순이었다. 슈울즈는 “어떠한 주라도 특정 제품이나 무역 파트너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이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리스크 관리와 유사하다고 말했다.
좁고 다양한 수출입의 성격을 가진 각 주의 경제는 이러한 세금 부과와 보복세에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과 산업 기반의 수출이 중요한 주에서는 이러한 정책 변화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스다코타는 캐나다에 대한 수출의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