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모주 시장에서 소형 신규 상장 기업들이 연일 두 배 이상의 주가 상승을 기록하며 활기를 띠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반도체 프리커서 소재 회사인 엘케이켐이 공모가 2만1000원 대비 180% 상승한 5만8800원에 마감하였다. 이 날 엘케이켐은 시초가부터 공모가의 206.19%인 6만4300원으로 개장하였고, 장중에는 7만7800원까지 올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코스닥에 상장된 배선 시스템 기업 위너스는 공모가 8500원 대비 300% 상승하여 3만4000원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렇듯 상장 첫 날에 ‘따따블(공모가 대비 4배)’을 기록한 것은 지난해 8월 경피약물전달 의약품 전문기업인 티디에스팜 이후 6개월 만이다. 지난 20일에 상장한 차량 전력변환 솔루션 기업 모티브링크도 첫날 공모가인 6000원의 3배에 가까운 1만761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들 기업은 시가총액이 1000억 원가량의 소형 기업들로, 엘케이켐의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약 1318억 원에 이른다. 위너스와 모티브링크는 각각 582억 원과 743억 원으로, 소형주 중심의 공모주 시장의 부활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과가 최근의 시장 친화적인 공모구조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들 기업은 수요예측에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공모가를 희망범위 상단으로 결정하여 밸류에이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상장 후 유통 가능한 물량 또한 투자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았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엘케이켐의 최대주주인 창업자 이창엽 대표의 지분율은 공모 이후 56.63%로 매우 높은 편이며, 그는 자발적으로 2년 6개월의 매각제한을 두었다. 위너스 역시 최대주주인 위너스지주회사의 공모 후 지분율은 약 74.44%에 이르고, 상장일로부터 1년간 매각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소형주에 대한 신뢰를 더하고, 투자심리 회복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의 공모주 시장에서 소형주의 상승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끌 것으로 기대된다. 상장 첫 날 큰 폭의 주가 상승과 안정적인 지분 구조는 앞으로도 추가적인 투자자 유입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