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학주들이 실적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가속화되면서 저렴한 러시아산 원유가 시장에 풀릴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개선시켰고, 증권가에서도 화학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24일 발표된 바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정유 및 화학기업들이 포함된 KRX에너지화학지수는 이달 들어 6.75%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의 상승률(5.08%)을 초과하는 것으로, LG화학,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등 주요 화학 기업들의 주가도 함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LG화학의 주가는 7.58%, 금호석유는 12.69%, 롯데케미칼은 16.90% 상승하는 등 모든 기업들이 동반 상승했다.
지난해 화학업계는 약 40% 급락하는 부진을 겪었으며, 석유화학 업계의 침체 원인으로는 중국의 대규모 에틸렌 생산 증가와 경기 둔화,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글로벌 수요 감소가 지적되었다. 또한, 전쟁의 여파로 값싼 러시아산 납사 수입이 차단되어 국내 화학 기업들의 원가 경쟁력이 약화된 것도 큰 요소였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각각 63.8%와 157.3% 감소하며 고배를 마셨고, 한화솔루션도 적자 전환의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올해 화학주에 대한 전망은 밝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의지가 러시아산 원유 공급 재개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내수 부양 정책인 ‘이구환신’에 따른 수요 개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화학업계의 수익성 회복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나프타분해설비(NCC) 업체들이 상대적 원가 열위에서 벗어나게 된다면, 가동률 또한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며, 이는 화학주가 지난 3년간의 적자에서 탈출하게 하는 Trigger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국내 정유 및 화학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을 견제할수록, 국내 화학 기업들은 반사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러한 기대감이 실적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