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발견 소식에 백신 관련 주식 상승세, 그러나 경계심도 필요

중국 우한에 있는 연구소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는 발표로 인해 한국과 미국의 백신 관련 주식들이 급락세를 보였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우한 연구소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인간 수용체를 통해 박쥐에서 사람으로 전염될 위험이 있는 바이러스(KU5-CoV-2)를 발견하였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뉴욕 증시에서는 모더나의 주가가 5.34%, 화이자가 1.54% 상승하는 등 과거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주가가 급등했던 빅파마 주식들이 반응했다.

한국에서도 24일 개장과 동시에 SK바이오사이언스, 진원생명과학, 셀리드와 같은 백신 개발 기업들의 주식이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날 질병관리청은 정례 브리핑에서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충분한 정황적 증거는 아직 없다”고 발표하며, 이에 따라 관련 주식들은 상승 폭을 다시 줄이게 되었다. 예를 들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장중 한때 4만9750원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0.1% 상승한 4만7900원으로 마감했다. 같은 날 장 초반 10%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했던 셀리드와 진원생명과학은 각각 4.39%와 9.78%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내 여러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를 개발 중이긴 하지만 실제로 상용화된 제품은 없다”며, “코로나 관련 소식이 나올 때마다 주가가 이론적으로 오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종 코로나의 확산 여부와는 별개로 최근 뉴욕 증시에서는 헬스케어 주식들이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1일, 나스닥이 2.2%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존슨앤드존스는 1.64%, 노바백스는 0.88%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투자자들은 테마주에 따른 변동성에 유의하며, 관련 뉴스를 통해 매매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종 코로나 관련 뉴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크기 때문에, 시장 움직임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매매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