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올해 성장률 전망 1.9%에서 1.6%로 하향 조정할 듯

한국은행이 오는 25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원인은 민간 소비와 건설 투자의 부진, 그리고 수출 증가율의 둔화이다. 23일 연합뉴스가 경제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로 낮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의 박정우 이코노미스트는 “민간 소비의 회복이 느린 상황 속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와 함께 자동차 및 반도체 수출의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국은행이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추가경정예산의 지연이 상반기 경기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성장률 하향 조정 원인 중 하나로 평가했다.

신한투자증권의 안재균 연구위원도 같은 경향을 보이며, “건설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내수 침체가 심화되고 있어 전망치를 1.6%로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 증가의 둔화로 인해 올해 성장에 대한 기여도가 하락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으며, 트럼프의 정책도 성장률 하락의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그 영향력은 아직 평가하기 이르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의 안예하 선임연구원도 1.6% 하향 조정을 예측하며, “트럼프 정책이 수출에 미치는 불확실성과 내수 부문 둔화 흐름이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출 부문이 0.2%포인트, 내수 부문이 0.1%포인트를 각각 하락시켜 총 0.3%포인트의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의 박석길 본부장은 올해 성장률을 1.2%로 제시하며 성장의 하방 리스크가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은행이 성장률 전망치를 반드시 조정할 것이지만, 자신의 전망치보다 높게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동국대학교 강경훈 교수는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과 트럼프 정책의 영향을 받아 기업들이 자산 투자와 고용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기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성장률을 1.6%에서 1.7%로 판단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은 한국 경제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민간 소비의 회복 지연, 저조한 건설 투자의 지속, 그리고 수출 증가율 둔화가 기업과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감 또한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