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S자산운용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매각하는 곤지암 물류센터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며 국내 물류센터 시장에서의 활발한 거래를 이끌고 있다. 이날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DWS자산운용은 곤지암 물류센터를 인수하기 위해 1000억원 초·중반의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곤지암 물류센터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하며, 대지면적 3만7428㎡, 연면적 6만3659㎡의 규모로 두 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주시 도척면은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가까운 지역으로, 물류센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쿠팡, CJ대한통운, GC Cell 등 다양한 화주사가 이 물류센터를 임차하고 있으며, 임대율은 100%에 달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 물류센터를 2013년에 매입하였고, 싱가포르투자청(GIC)이 전체 자금의 약 80%를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곤지암 물류센터는 지역의 우량 물류센터로 평가받아최근 진행된 매각 입찰은 국내외 여러 투자사가 참여하는 등 큰 관심을 모았다. DWS자산운용의 인수 상대자로서의 위치를 확보한 것은 수도권 물류센터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번 곤지암 물류센터 거래 외에도, 이천4물류센터와 안성 죽산물류센터, 인천 덕양유엘씨 물류센터 등의 매각도 진행 중이다. 특히, ESR켄달스퀘어리츠에 의해 이천4물류센터의 매각이 CBRE코리아의 주관 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휠라코리아가 해당 물류센터를 임차하고 있다.

젠스타메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의 캡레이트(부동산 투자 대비 수익률)는 2021년 대비 0.4%포인트 상승해 5.9%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물류센터 시장의 균형 잡힌 거래를 이어가고 있는 배경으로 이해된다. 전문가들은 향후 물류센터 거래가 임차인이 우량하고 물리적인 스펙이 뛰어난 자산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곤지암 물류센터와 같은 우량 물류센터의 거래가 더욱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내 투자 시장은 향후에도 이 같은 트렌드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