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 라우 홍콩투자청 청장이 최근 한국을 방문해 홍콩의 투자 환경을 강조하며, 많은 기업들이 홍콩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홍콩에는 총 539개 기업이 새롭게 진출하거나 기존 사업을 확장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41% 증가한 수치로 외국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홍콩투자청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약 9000개 이상의 외국 기업이 홍콩에 법인을 두고 운영 중이다. 이중 많은 기업은 중국 시장에 접근하기 위한 교두보로 홍콩을 선택하고 있다. 홍콩과 중국 본토는 CEPA(중국·홍콩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를 체결하여, 서비스 기업이 홍콩에 진출할 경우 세제 혜택 및 다양한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건설, 금융, 영화, TV 산업의 기업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라우 청장은 이번 방한의 목적이 한국 기업을 홍콩으로 유치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홍콩은 약 100억 홍콩달러 규모의 혁신 기술 산업 육성 기금을 조성했다고 전했다. 이 기금은 생명과학기술, 인공지능(AI), 로봇, 반도체, 스마트 기기, 신에너지 등 미래 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할 예정이다. 웨강아오 대만구에 있는 화웨이, 텐센트, BYD와 같은 7만5000여 개 첨단기업들은 홍콩과 마카오, 광둥성에서 거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풍부한 인재와 다양한 사업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또한, 홍콩에서 7년 이상 사업을 할 경우 영주권을 부여하는 제도도 마련되어 있다. 투자자는 최소 3000만 홍콩달러를 투자하면 가족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 투자금의 10%는 혁신 기술 발전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된다. 이는 한국 기업들에게 경제적 이점과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라우 청장은 “홍콩은 여전히 국제적인 비즈니스 중심지이며, 한국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이 지역에서 성장할 기회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환경은 앞으로도 홍콩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