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전동 보조 조향 시스템의 결함을 바로잡기 위해 미국에서 376,241대의 차량을 자발적으로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리콜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웹사이트에 게시된 기록에 따르면, 2023년 2월 28일부터 2023년 10월 11일 사이에 제조되어 판매된 모델 3 및 모델 Y 차량을 대상으로 하며, 특정 구버전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차량이 포함된다.
NHTSA의 안전 리콜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차량의 조향 시스템 내 인쇄 회로 기판이 과부하에 걸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이 정지한 후 가속할 때 전동 조향 보조 기능이 일부 경우에 실패할 수 있다. 전동 조향 보조 시스템이 실패하면 운전자는 차량을 조작하기 위해 더 많은 힘을 써야 하며, 이는 사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테슬라는 차량 안전 규제 기관에 현재 조향 보조 시스템의 실패와 관련된 사고나 부상, 사망 사례는 없다고 설명하며, 문제가 발생한 차량 소유자에게는 공중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리콜은 이 시스템과 관련된 중국의 이전 조사 및 자발적 리콜 이후 이뤄졌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를 임명하여 연방 정부의 인력 및 규제를 축소하는 팀을 이끌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 축소는 NHTSA에도 영향을 미쳤다. 머스크는 NHTSA가 테슬라의 여러 목표를 방해하고 있다고 오랜 기간 주장해왔다. NHTSA는 현재 테슬라가 마케팅 중인 자율주행 및 완전 자율주행(감독 하에) 옵션의 안전 결함 조사에 몇 년을 투자하고 있다. 이 기능들은 테슬라 차량을 로봇 택시로 만드는 것이 아니며, 항상 스티어링이나 브레이크를 조작할 준비가 된 인간 운전자가 있어야 한다.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팀은 NHTSA에서 대규모 해고를 단행하여 이 기관의 직원 수를 약 10% 감소시켰다. 이에 따라 테슬라를 포함한 회사들에 대한 조사의 용량도 감소했으며, 테슬라는 이에 대한 입장을 전하지 않았다.
리콜 소식은 고객과 투자자들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테슬라 주가는 새로운 차량의 출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속적인 품질 관리와 안전성 확보가 테슬라의 이미지와 판매에 진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라는 점에서, 이번 리콜은 기업의 향후 방침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