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케이솔루션이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냉동공조 시스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안근표 대표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씨케이솔루션은 국내 최초의 2차전지 드라이룸을 개발하는 등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쌓아왔다”며, 이를 기반으로 방산, 반도체, 데이터센터, 바이오 산업의 고객층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씨케이솔루션은 2004년 설립 이후 냉동공조 분야에 주력하며 특히 2차전지 제조에 필수적인 드라이룸의 기술을 축적해왔다.
드라이룸은 공기 중 습도를 1% 이하로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한 제조 과정에 필수적이다. 습기에 노출될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씨케이솔루션은 슈퍼 하이브리드 대용량 제습기, 공기조화기, 송풍기 필터 유닛, BCU, 항온항습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안 대표는 다른 경쟁사들이 반도체 클린룸 사업에서 확장하는 것과 달리, 씨케이솔루션은 설립 초기부터 드라이룸 기술 고도화에 초점을 맞추어 국산화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스텔란티스, GM, 현대차 등과도 조인트벤처 형태로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업은 씨케이솔루션의 기술적 우위를 강화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씨케이솔루션의 매출은 2153억원에 달하며, 지난해에는 이를 초과하는 3000억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안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전기차 산업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2차전지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은 장기적으로 강세를 보일 것”이라며, 이러한 문제를 기회로 삼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무역장벽이 높아질수록 해외 직접투자의 비중이 늘어나며, 이는 해외 수주 증가로 이어진다”며, 실제로 2차전지 및 반도체, AI 데이터센터 분야의 수주잔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상장 추진은 시장 확대에 따른 운영자금 확보와 아산 제조공장 건립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다.
씨케이솔루션은 2차전지 산업을 넘어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바이오, 방산 분야로도 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기존의 2차전지용 드라이룸뿐 아니라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용 드라이룸의 양산, 반도체용 슈퍼 클린룸, 바이오 클린룸, AI 데이터센터 및 액침냉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안 대표는 코스피 상장 후에도 한국의 반도체 산업단지와 같은 거대한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인도 등 해외 시장에서도 1조원 이상의 수주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씨케이솔루션은 앞으로 글로벌 냉동공조 시스템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술 고도화와 사업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안 대표는 “북미뿐만 아니라 멕시코, 브라질에도 법인을 설립했으며, 장기적으로 1조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