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의 발전은 전기 수요의 급증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배순훈 전 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러한 상황에서 소형모듈원전(SMR)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했다. 그는 “AI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존재”라고 말하며, 왜 많은 IT 기업들이 SMR과 같은 원자력 발전 기술에 투자하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18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발전재단 이사장 직을 맡고 있는 자리에서, 한국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SMR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했다. 배 이사장은 “AI로 촉발된 전기 수요 증가는 저렴하고 안정된 전기 공급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원자력을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특히 SMR이 지니고 있는 경제성 측면을 높이 평가하며, “최장 30년까지 추가 연료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원전 폐열이 적기 때문에 인구 밀집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에너지 전쟁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을 보였다. 이 시대에 전력 공급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며 “증명된 기술로 인해 전력을 중단 없이 공급하는 것은 곧 국가의 힘”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이 SMR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했다. 그는 대형원전의 경우 원천기술 개발은 외국 기업이 맡고 있지만, 제조는 한국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배순훈 이사장은 이러한 기술적 발전과 함께, 정책적인 지원이 필수적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과거 한국이 ADSL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에 성공한 경험을 들어, 과감한 정책적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당시 일본의 비웃음을 견디며 전 세계가 인정하는 IT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이유를 지적하며, SMR 기술 개발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구 전체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SMR만큼 좋은 선택은 없다”는 그의 발언은 SMR 기술에 대한 강한 신뢰감을 드러낸다. 한국이 AI 시대를 맞이하여 전력 공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할 수 있는 기회가 도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결국, 배순훈 전 장관의 주장은 AI 시대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은 SMR 기술에 달려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