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의 자산 이동, 증권사로 향하는 개인 투자자들”

한국투자증권의 김성환 사장이 최근 저금리 기조 속에서 금융시장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고수익을 추구하는 개인 수요가 증가하며, 지난해에는 증권사로 약 14조 원의 신규 자금이 유입됐다”고 전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 투자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손익차등형 펀드와 하이일드 펀드와 같은 새로운 상품들이 출시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김 사장은 증권사가 개인 고객 자산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금융 자산 중 약 70%가 예·적금과 보험에 묶여 있다”며, 이를 글로벌 우량 자산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목표는 2030년까지 개인 고객 자산의 30%를 글로벌 자산으로 배치하고, 회사 수익의 30%를 국제 시장에서 창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저금리와 글로벌 시장에 대한 투자 관심이 급증하면서 한국투자증권은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갖춘 금융 상품 출시를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특히 인컴형 상품은 저금리 이상의 수익을 제공하며, 자산의 절반 이상이 채권과 발행어음에 투자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자산 비중을 증가시키는 등, 대외적으로도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김 사장은 “과거에는 외국의 투자은행들이 한국 증권사에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현재는 우리 증권사에 매월 1조30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해외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긍정적인 변화로 풀이된다.

그는 또한, 퇴직연금 시장에서도 자금이 증권사로 이전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확정기여형(DC) 연금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각각 30.6%, 43.6%의 성장을 기록하며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김 사장은 “상장지수펀드(ETF)와 채권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대한 수요가 은행에서 이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투자계좌(IMA) 사업 진출 또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원금 보장+실적 배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더 많은 개인 고객의 자금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사장은 “기업금융 활성화와 모험 자본 공급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희망하며, 결국 한국 증권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올해 신년사에서도 김 사장은 기존의 사업 모델에서 탈피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1단계를 넘어 현실적인 성과를 내는 글로벌 2단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한국투자증권이 국제적인 금융 시장에서 스탠다드로 자리 잡기를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