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계 행동주의 펀드인 팰리서캐피털이 SK스퀘어에 대한 압박을 멈추고 지분을 대폭 축소했다. 팰리서캐피털은 SK스퀘어의 이사회에 자사 직원을 추천하는 등 적극적인 캠페인을 벌였지만, 이제는 투자금 회수에 나서면서 지분율을 1% 미만으로 줄인 상황이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팰리서캐피털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SK스퀘어 지분을 1% 이하로 매각했다. 이 과정에서 팰리서캐피털은 SK스퀘어가 발표한 ‘밸류업 계획’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며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장밋빛 전망을 내비쳤다. 그러나 그 뒤로는 물밑에서 주주환원 목표치를 상향 조정하라는 요구를 하며 주주행동주의를 이어갔다.
이와 동시에 ‘계엄령 선포 사태’가 발생하면서 한국 시장에 대한 유보적인 입장으로 선회하게 됐고, 결국 지분 처분이라는 결정을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 이번 주주제안권은 팰리서캐피털 외에 다른 주주들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이러한 행보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팰리서캐피털이 SK스퀘어를 향해 공격적인 공세를 펼치다가 불과 1년 만에 이렇듯 빠르게 ‘엑시트’를 선택한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외국계 행동주의 펀드의 기업가치 제고라는 명분이 실질적으로는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펀드는 지난해 11월 “SK스퀘어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지만, 그로부터 불과 한 달 만에 지분을 전면 매각하면서 긍정적인 입장을 내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해외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 가치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보이지만, 결국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은 팰리서캐피털 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계 펀드에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결국 SK스퀘어와의 갈등이 가져온 결과는 투자자들에게 신뢰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게 만들었다.
이처럼 팰리서캐피털의 SK스퀘어 지분 매각은 단순한 투자 회수를 넘어,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전략과 시장 반응, 기업 governance에 대한 깊은 숙고를 요구하는 사례로 분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