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신임 국제투자협력대사는 한국 경제가 큰 고비를 넘겼지만, 앞으로 더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그는 후진적 노동시장과 왜곡된 사회 보상 시스템이 한국의 성장 동력을 저해하고 있으며, 이를 즉각적으로 개선하지 않으면 새로운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 대사는 “우리 사회 시스템으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감당해낼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 유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의 제조 경쟁력을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기업과 자본의 국경을 넘어선 합종연횡이 세계 경제의 트렌드가 되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 등 제조업 기반이 약한 지역에서 한국의 제조 기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은 이러한 경쟁력을 사장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한국 경제의 최대 과제라고 그는 밝혔다.
최 대사는 노동 정책 수립자들이 18세기 영국의 노동시장을 닮았다고 지적하며, “노동시장을 21세기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한국 경제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주52시간 근무제와 CEO 처벌 등 경직된 시스템을 유연화해야 혁신을 이끌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기업인에 대한 과도한 규제 또한 외국 기업의 한국 진출을 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 대사는 한국의 인재 육성 시스템이 재정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한국의 기술력이 중국에 뒤처지고 있는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첨단 기술 굴기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한국에게 큰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한편, 의료 분야로 인재가 몰리는 교육 시스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우수한 인재들이 특정 산업에 분포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의료 분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를 양성할 사회 보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계에 다다른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조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대사는 과거 중동 국가들이 석유화학 설비를 증설하며 생산한 사례를 들며 한국의 대응이 늦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시장에서의 실패를 바로잡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적절한 경험을 가진 관료들이 필요한 상황임을 지적했다.
요약하자면, 최중경 대사는 한국의 경제와 노동시장을 현대화하여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경제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