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불 때 배당은 옛말”…연 7% 벚꽃 배당 기대 종목은?

올해 역시 많은 상장사들이 정부의 배당 선진화 정책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2월과 3월에 배당주에 투자할 기회를 마주하게 되었다. 특히 주주환원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올해 배당 성향을 높인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어 6% 이상의 배당수익률을 자랑하는 종목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3~4월에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이른바 ‘벚꽃 배당’ 투자 열기가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KB증권에 따르면, 6%의 배당수익률을 가진 종목 중 2월 28일 배당기준일로 정해진 기업으로는 LX인터내셔널(7.3%)와 GS(6.8%)가 있다. 또한, 기아(7%)는 3월 19일에 배당기준일이 설정되어 있으며, 3월 28일에는 교보증권이 8.4%라는 높은 배당수익률로 예정되어 있다. 아울러, 광주신세계는 올해 배당기준일이 3월 31일로 설정되었으며, 배당수익률이 7.4%에 달한다.

이러한 배당 선진화 정책은 12월 말에 배당기준일이 정해지면서 배당금을 결정을 사전에 알지 못하고 투자해야 하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주로 4분기 실적이 발표되는 2월에 배당기준일이 설정되어 투자자들은 배당액을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배당기준일이 분산되어 있어, 예를 들어 2월 말까지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가 이후 주식을 매도한 뒤 3월 말에 또 다른 주식을 사들여 추가 배당금을 얻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린다.

특히 대형주 중 가장 빨리 배당기준일이 도래하는 기업으로 HMM이 있다. HMM은 2월 26일을 배당기준일로 정해두었고, 최근 실적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더해져 배당락의 우려가 크지 않다. 주당 배당금은 600원으로, 현재 주가에서의 배당수익률은 3.2%로 측정된다.

2월 28일에는 금융주 기업들의 배당기준일이 집중되어 있다. 금융주는 분기마다 배당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2월 28일 이후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3월 31일까지 보유하면, 2024년 결산 배당과 2025년 1분기 배당을 모두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된 금융주로는 DGB금융지주(5.3%), BNK금융지주(4%), 우리금융지주(3.9%), JB금융지주(3.8%), 하나금융지주(2.9%)가 있다.

현대차는 분기배당을 시행하는 기업으로, 2024년 4분기 배당 기준일이 역시 2월 28일이며 배당수익률은 3%이다. 기아의 경우, 3월 19일에 배당기준일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 또한 7%로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3월 24일에는 현대모비스가, 3월 26일에는 LG의 배당기준일이 차례로 예정되어 있다. 또한, 3월 28일에는 교보증권, 세아베스틸지주, 세아제강 등의 기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롯데그룹의 계열사들도 배당 선진화 정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여, 기존 연말 배당기준일을 3월 31일로 변경하였다. 롯데지주, 롯데쇼핑, 롯데렌탈 등은 모두 동일한 일자를 배당기준일로 설정하였다.

4월 4일까지 배당기준일이 이어지며, 4월 1일에는 크레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