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액화천연가스(LNG)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최근 2주 사이에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22% 이상 급등하며 LNG 관련주의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년까지 미국은 LNG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무역국들 간의 상호협력 및 무역 카드로서의 LNG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 하에서 미국은 LNG를 에너지 독립을 넘어 에너지 패권을 쥐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국가들은 LNG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으며, 미국과 인도가 협력하여 미국산 석유와 가스를 구매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본도 LNG 수입 확대와 알래스카에서의 천연가스 합작 개발 등의 방안을 제시하며 협상에 나섰다.
미국은 현재 LNG 수출국과 동맹국 여부와 관계없이 대미 무역적자를 발생시키는 국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반영하며, 갑작스런 에너지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전력 요금 안정에도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LNG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공급의 변동성을 줄이고, 전력 생산 비용을 낮추는 핵심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금융 조사업체 LSEG에 따르면, 미국의 LNG 수요는 지난해 152억 입방피트(bcf/d)에서 올해에는 178억 bcf/d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2021년 이후 지속적인 천연가스 소비가 반영된 결과이다. 이에 따라 LNG 수출 증가를 위한 더 많은 선박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이것이 한국 조선업계의 수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천연가스 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GE버노바와 EQT코퍼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GE버노바는 에너지 인프라 수요에 부응하며 올해 주식 시장에서 유망주로 손꼽히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연초 대비 9% 상승을 기록하면서도 여전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벤 칼로 애널리스트는 GE버노바의 목표가를 448달러로 제시하며, 장기적인 비즈니스 전망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EQT코퍼레이션도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예상보다 높은 주당순이익을 기록하여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었다. 또한, 천연가스 ETF인 프로셰어즈 울트라 블룸버그 천연가스(BOIL)와 미국 천연가스 펀드(UNG)의 상승세도 주목할 만하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천연가스 시장과 관련된 주식들은 관세 전쟁과 전략적 에너지 수출 정책의 영향을 받아 더욱 활발한 투자 활동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도 LNG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