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두 달간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거래금액이 76% 급락하며 일평균 6.4조 원에 그치고 있다. 비트코인이 지난해 12월 10만 달러를 넘어선 이후 지속적인 박스권 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거래금액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알트코인 시장에서의 부진이 두드러지며, 국내 투자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14일 가상자산 통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번 주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6조4327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최고 수준인 12월 첫째 주의 27조2559억 원과 비교할 때 23.6%에 불과하여, 두 달 사이 거래대금이 4분의 1로 줄어든 것이다. 이는 비트코인이 9만 달러에서 11만 달러 사이에서 머무르며 가격 조정 과정을 겪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트레이딩뷰의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이 지난해 12월 8일 1조6100억 달러에서 현재 1조2400억 달러로 22.98%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4.31% 줄어들어 알트코인의 상대적 약세가 더욱 부각되었다. 이는 알트코인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상황에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의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도 역시 지난해 12월 초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커짐에 따라, 일부 비트코인 회의론자들은 가상자산이 장기적인 크립토 윈터를 맞이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 가상자산 업계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채굴업체들은 AI 데이터센터와 같은 새로운 사업 모델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채굴에 대한 보상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트코인 채굴기업 라이엇 플랫폼스는 최근 이사회를 새롭게 구성하며 비트코인 채굴 자산의 AI 및 고성능 컴퓨터용 자산으로의 전환 계획을 밝혔고, 코어사이언티픽은 기존 비트코인 채굴장을 AI 데이터센터로 전환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결정은 비트코인의 최근 반감기 이후 채굴 비용이 증가하고 수익성이 감소하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가상자산 시장에서 최대 실적을 기록한 거래소들은 앞으로의 실적 둔화를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거래 실적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 같은 거래소들은 지난해 4분기에 큰 매출 성장을 보였지만, 여전히 지속적인 하락세가 우려된다.
결국, 가상자산 시장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모두에서 거래 활성화의 회복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버렸다. 향후 시장의 회복 가능성과 투자자의 신뢰를 어떻게 끌어올릴지가 전망의 핵심으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