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범 미래에셋증권 IB1부문 총괄 부사장이 올해 국내 M&A 시장에서 세컨더리 투자가 활발히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세컨더리 투자는 사모펀드(PE)와 벤처캐피털(VC) 등에서 보유한 기업 매물을 재판매하는 거래를 의미하며,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거나 자금을 조기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많은 PE들이 확보한 드라이파우더가 여전히 집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강 부사장은 IPO(기업공개) 시장의 침체가 오히려 투자자들이 세컨더리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상장사들이 추진하는 증자에 대한 공모시장의 부정적 반응과 금융당국의 강화된 규제로 인해 기업들이 사모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PE들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세컨더리 투자 규모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IB(투자은행) 간의 유치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미래에셋증권 IB부문은 1분기 내로 세컨더리 조직을 신설해 기업의 전략적 투자자(SI)와 재무적 투자자(FI)를 유치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강 부사장은 1995년 미래에셋증권에서 경력을 시작해 현재 기업 IB 분야의 전문가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 대기업 그룹들의 계열사 리벨런싱이 계속되는 가운데, 다양한 M&A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측된다. SK그룹은 최근 3사 합병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꾀하고 있으며, 롯데그룹은 국내 렌터카 업계 1위 롯데렌터카를 외국계 사모펀드에 매각한 바 있다. 강 부사장은 “삼성, 현대차 등도 향후 자본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IB들이 기업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자금 조달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올해 기업들의 IPO도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침체로 IPO 시장에서 가치 하락 조짐이 보였지만, 강 부사장은 시장 회복 잠재력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다운되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자본시장의 유동성은 풍부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IPO 시기를 미룰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현대차 인도 법인과 같이 해외 시장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은 현지 IB와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투자 유치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인도 증권사 쉐어칸을 인수하여, IPO 및 자금 조달이 필요한 기업들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