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미사용 잔액 급증, 사용 편의성 개선 시급

전통시장을 위한 온누리상품권의 미사용 잔액이 지난해 말 1조원에 가까워지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2009년에 도입되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발행 규모가 증가하는 반면 실제 사용되지 않은 상품권이 1조원에 육박하는 현실은 무엇이 문제인지 심각한 성찰을 요구한다.

국회예산정책처의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의 누적 미회수액은 5년 전인 2019년 2322억원에서 2020년 8376억원으로 증가한 뒤 2023년에는 6037억원으로 줄어들기도 했으나, 지난해에는 다시 9436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발행량은 2020년 2조5000억원에서 올해 5조5000억원으로 5년 사이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사용처는 여전히 한정적이어서 소비자들이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국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 수는 2020년에는 2만5000개를 넘었지만, 지난해 8월에는 9129개로 줄어들어 소비자들이 실제로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가 감소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소비자들의 불만으로 이어지며,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의 시급함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과 유통업계에서도 사용처 확대와 제도 개선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한 지역화폐와 유사한 기능을 하면서 유통 전반에 걸쳐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누리상품권 역시 보다 다양한 사용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온누리상품권이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려면 발행보다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되어야 한다. 그렇게 할 경우, 미사용 잔액의 급증 문제를 해결하고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에 진정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