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랫폼, 산업용 AI 시장 개척을 위한 IPO 추진

심플랫폼이 산업용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최초로 상장을 추진하며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강태신 대표는 12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청사진을 소개했다. 2011년에 설립된 심플랫폼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의 양품과 불량품을 구별하는 품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이 회사는 언어 모델이 아닌 제조업을 타겟으로 한 산업용 AI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 대표는 “산업용 AI는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다양한 기기에서 통신 프로토콜이 달라 표준화가 힘들며, 투자 비용 또한 큰 부담이 되어 기술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도 쉽게 범용 AI를 도입할 수 있다면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플랫폼은 데이터 드리프트 감지와 레어 이벤트 탐지와 같은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데이터 드리프트 감지는 센서 및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데이터 변화를 탐지해 재학습을 수행하며, 레어 이벤트 탐지는 비정상적인 데이터 횟수가 적은 상황에서 정상 데이터로부터 고장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은 DB하이텍, 풍원정밀, 축산물품질평가원, 강남세브란스 등 다양한 고객사에 적용되어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심플랫폼의 기술은 반도체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웨이퍼 장비의 불량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이를 통해 생산 수율을 개선하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회사 측은 연간 약 160억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심플랫폼의 AI 기술이 메탈 마스크의 진품과 가품을 판별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공공 부문에서는 반도체 검사의 AI 기술을 통해 등심 등급 판별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지난해 기준 심플랫폼은 7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약 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그러나 상장을 통해 신뢰도를 높여 더 많은 고객사를 확보한다면 올해에는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IPO를 통해 심플랫폼은 총 92만주의 신주를 모집할 예정이며, 공모가는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 사이로 예상되고 있다. 총 공모액은 120억원에서 138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수요예측은 이달 27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진행되며, 일반청약은 같은 달 11일부터 12일간 모객이 진행될 예정이다. 주관사는 KB증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