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대기업들이 그동안 공격적으로 인수한 기업들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대규모 손실 인식을 나타내는 ‘빅배스’ 처리가 잇따랐다. 롯데케미칼과 이마트 등은 리더십 교체와 회계 연도 결산에 맞춰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4분기는 대규모 손실 인식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회계상의 영업외이익 부문에서 손실이 나타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업황이 양호할 때 막대한 웃돈을 지불하고 인수한 기업들의 가치가 유통, 화학, 신재생 에너지 업종에서 크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마트는 지난해 4분기 영업적자 771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으나, 일회성 인건비를 고려할 경우 영업이익은 사실상 112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순손실은 5963억원으로, 이는 인수한 지마켓의 영업권 손상차손 2691억원이 반영된 결과이다. 지마켓은 2021년에 3조4000억원에 인수되었고, 매년 영업권 상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마트의 영업이익이 계속해서 감소해온 상황이다.
가톨릭대 회계학과 김범준 교수는 인수기업에 대한 영업권이 시장가치나 장부가치보다 높은 경우, 매년 이를 검토하여 공정가치가 하락했을 때 손상차손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영업이익 대신 순이익에 더 많이 반영되는 경향이 있어 대규모 손실 인식 시기가 중요해진다.
특히, 장기간 적자를 지속한 기업들은 공정가치가 더 크게 하락하며 손실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손상차손은 신용평가사에서 중요한 지표로 다루는 EBITDA(이자, 세금, 감가상각 전의 이익)에 영향이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 빅배스의 부담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유안타증권의 황규원 연구원은 신용등급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분야에서 대규모 손실을 인식하더라도 노력을 기울여 영업이익을 방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롯데케미칼은 작년 4분기 234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반면, 순손실은 1조1207억원에 달했는데, 이는 2022년에 2조7000억원에 인수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주가가 반 토막 난 영향이다. 한화솔루션은 매각으로 인해 일회성 이익이 발생해 107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순손실은 여전히 1315억원에 달했다. 이는 미국 태양광 사업 강화를 위해 인수한 REC실리콘의 손상차손 600억원 등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손상차손은 아모레퍼시픽과 스카이라이프에서도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은 두 개의 해외 브랜드 손상차손을 1300억원 인식했으며, 스카이라이프는 OTT 확산으로 인한 유료 방송 가입자 수 감소로 1200억원의 손상을 반영했다. 이처럼 지난해 4분기, 대기업들이 겪은 빅배스는 단순한 회계 처리 결과가 아니라 향후 지속적인 재무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남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