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부통령 JD 밴스가 미국 조치 AI 및 반도체 기술을 보호하고 이들 기술의 무기화 시도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2024년 10월 1일 CBS 뉴스가 주최한 부통령 토론회 뒤, 파리에서 열린 AI 액션 서밋에서 연설하며 “일부 권위주의 정권이 AI를 도용하여 군사 정보 및 감시 능력을 강화하고, 외국 데이터 수집 및 선전을 통해 타국의 국가 안보를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밴스는 “이번 행정부는 이러한 시도를 단호히 저지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싶다. 우리는 미국의 AI 및 반도체 기술을 도난과 오용으로부터 보호할 것이며, 동맹 및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이러한 보호 조치를 강화하고 확장하겠다. 또한, 우리의 모든 국민을 위협하는 AI 능력을 적대 세력이 취득하는 경로를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액션 서밋에서 주목받는 이슈 중 하나는 중국의 AI 모델인 DeepSeek에 대한 것이었다. DeepSeek은 OpenAI의 o1 추론 모델과 동등한 성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달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밴스는 DeepSeek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권위주의 정권이 heavily subsidized 하여 수출한 저렴한 기술의 존재를 잘 알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 같은 기술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그러한 권위주의 정권과 협력하는 것은 우리 국가를 그들의 권위주의적 지배자에게 묶는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 정보 인프라를 침투하고 장악하려고 한다”는 경고를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은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그들 역시 저렴한 기술에 의존하지 말라는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밴스의 발언은 AI 기술과 국가 안보의 중대한 연관성을 강조하려는 시도로, 미국이 앞으로도 기술 주권을 강력히 지켜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 서밋을 통해 그는 권위주의 정권의 기술적 위협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미국 및 동맹국들이 공동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미국의 기술이 외부의 침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필요성에 무게를 두었다.
밴스의 연설은 서밋 참가국들에게 미국의 의지를 알릴 뿐 아니라, 글로벌 기술 생태계가 권위주의 정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협력할 필요성을 설파했다. 이러한 메시지는 앞으로도 국제적으로 지속적인 논의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