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관세가 단순한 상징적 조치가 아닌 고통을 주는 조치로, 미국 내 일자리를 잃게 만들 것이라고 프랭크 라빈, 전 미국 싱가포르 대사가 경고했다. 라빈은 CNBC의 ‘스트리트 사인즈 아시아’ 프로그램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하며, 특히 미국의 자동차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라빈은 “우리는 가까운 시일 내에 나쁜 소식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관세가 다른 나라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결과적으로 무역 악화와 인플레이션 압력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는 최근 스틸과 알루미늄 수입에 대해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이러한 조치가 세계 여러 나라의 반응을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빈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나 멕시코를 대상으로 한 관세를 통해 국경 안보와 같은 쟁점에 대한 반응을 유도하려고 할 수 있지만,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관세는 그러한 빠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가 다자간 관세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이 빠르게 대응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또한 트럼프는 ‘상대적’ 관세 조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무역 악화를 야기할 것이라며, 이는 세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태도는 무역 거래를 더욱 어렵게 만들며, 따라서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경제는 나쁘지 않지만, 라빈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경제에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여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보류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트럼프는 과거에 연준에 대해 불만을 표출했지만, 이번에도 관세를 유지한 채로는 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내 기업들은 비즈니스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미국 근로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개인의 경제적 안정성을 해치는 결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