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들,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복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자, 미국과 막대한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여러 아시아 국가들이 이에 대한 유리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요일 Reciprocal Tariffs(상호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예고하며, 관세는 즉시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조치는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국제무역기구(WTO)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아시아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미국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수입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인도가 17%로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다른 국가들이 있다. 한편, 미국은 주요 경제국들과 MFN(가장 혜택을 주는 국가)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 중에는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이 포함된다.

지난해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2,954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무역 흑자국으로 나타났고, 그 뒤를 이어 베트남, 대만, 일본, 한국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아시아 국가들이 현재는 관세 부과의 위험에서 벗어난 것처럼 보일지라도, 상황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만큼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베트남은 미국의 무역 제한에 가장 노출된 경제 중 하나로, 미국과의 무역에서 지속적으로 큰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최근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항공기 및 액화 천연가스(LNG) 구매를 약속하며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을 “가장 악질적인 무역 남용국”으로 묘사했던 기록이 있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인도는 상대적으로 미국의 관세보다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고 있어 가장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다. 인도 정부는 최근 여러 품목의 관세를 낮추고, 미국산 에너지 및 방산 장비 구매를 확대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어 유의미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관계에서 더 많은 미국산 제품 구매를 촉구하며, 상호 공정한 무역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당분간 관세 인상을 피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은 미국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도 확대하기로 약속하면서 안정적인 무역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은 최근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과 다시 대화에 대한 기대감을 남겼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한 일정 비율의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대응하고 있으나, 이전에 비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은 더욱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복잡한 무역 환경 속에서, 아시아 국가들은 트럼프 정부의 고강도 무역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향후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