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삼성전자 주식 2800억원 규모 매각 결정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각각 2800억원 어치의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삼성전자의 자사주 소각 계획에 따른 것으로, 두 금융 계열사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의 지분율이 상승할 경우 금산분리 원칙을 위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은 이사회에서 삼성전자 주식 425만2305주를 약 2364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했으며, 삼성화재도 74만3104주를 약 413억원에 매각하기로 했다. 이 매각은 12일 장 개시 전에 이루어질 예정이며, 매도가는 지난 10일 종가를 기준으로 설정됐다.

이번 주식 매각은 삼성전자가 추진 중인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과 관련이 깊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주가 안정을 위해 10조원 규모로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이미 발표한 바 있다. 이 일환으로, 삼성전자는 오는 17일까지 3조원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사주 소각이 이루어지면 전체 발행 주식 수가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지분율이 모두 상승할 전망이다. 현행 법률에 따르면 금융 계열사는 비금융 계열사에 대한 지분을 10%까지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분 상승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은 8.51%, 삼성화재는 1.49%로 집계되어 있으며, 이들이 자사주 소각 이후 각각 8.58%, 1.50%로 증가할 경우 법적 한도를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이번 지분 매각을 통해 각각 8.44%와 1.48%로 지분율을 감소시킬 예정이다.

다만, 이러한 지분 처분이 삼성전자의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금융 계열사가 대규모로 주식을 매각하게 되면 삼성전자의 기업 이미지와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결국,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이 같은 조치는 금산분리 원칙을 준수하고 기업의 법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대응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 완료되면 그에 따른 금융 시장과 주가의 반응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