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금값 상승으로 이어져…전 세계 안전자산으로서 금 투자 증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선언한 이후 금값이 연일 상승하며 역사적인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인 투자자들이 금 관련 상품을 적극적으로 매수하고 있다.

현재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금값은 g당 15만28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지난 거래일 대비 4.95% 상승한 수치다. 금값은 이전의 최고 기록인 14만7820원을 넘어섰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금값 상승세는 가속화되었다.

금값은 지난 1월 2일 g당 12만8790원이었던 것이 최근 몇 주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18.64% 오른 상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금을 포함한 금속류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NH투자증권의 황병진 연구원은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미국 달러의 변동성을 헤지하기 위해 금을 외환보유액의 주요 자산으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은 금 자체뿐만 아니라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달 들어 KRX 금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은 190억 원어치의 금을 순매수했고, ACE KRX금현물 ETF에도 324억 원어치를 매입했다. 서학개미들은 SPDR 금 ETF(GLD)에 대해서도 지난주 동안 882만 달러, 약 129억 원어치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금과 연동되는 금담보 코인인 팍스골드(PAXG)와 테더골드(XAUt)는 가격 상승세를 보였다. 이 두 코인은 글로벌 금 시장 가격에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실물 금을 담보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저녁 기준으로 PAXG는 2898.18달러, XAUt는 2868.70달러로 각각 2.48%와 2.42%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정명령이 발표된 1일 이후 주요 가상자산은 하락세를 보였지만, 금 코인은 오히려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비트코인은 6.36% 하락했고, 이더리움과 XRP, 솔라나도 각각 21.48%, 22.53%, 13.93% 하락하는 등 가상자산 시장 전반이 위축된 상황이다. 그러나 금 코인들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며 안정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금담보 코인들은 실물 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국가에서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금의 안전성과 가상자산의 불확실성이 부각되면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