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어펄마와의 풋옵션 분쟁에서 유리한 고지 확보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재무적 투자자(FI)인 사모펀드 어펄마캐피탈과의 주식매수청구권(풋옵션) 분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번 분쟁에서 교보생명의 풋옵션 가격이 어펄마가 제시한 초기 가격의 절반으로 결정되면서 신 회장의 지분 재매입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 결정은 신 회장이 다른 FI인 어피너티컨소시엄과의 풋옵션 분쟁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 소식에 따르면, 어펄마는 최근 교보생명 지분 5.33%를 주당 19만8000원(액면분할 전 기준)에 신 회장에게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신 회장과 어펄마 간의 가격 협상의 결과로, 2018년부터 이어진 분쟁이 약 7년 만에 마무리되었다는 점에서 중대한 의의가 있다. 이번 가격 결정은 어펄마가 2018년 11월에 주당 39만7900원으로 풋옵션을 행사하려 했던 상황과 비교할 때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어펄마는 2007년 교보생명 지분을 인수한 이후 FT로 참여했으며, 2012년까지 교보생명이 상장하지 못할 경우 지분을 신 회장에게 매각할 수 있도록 하는 풋옵션 계약을 체결하였다. 교보생명이 상장에 실패하자, 어펄마는 풋옵션을 행사하게 된 것이며, 이는 국제중재 소송으로 이어졌다. 국제중재에서 승소 가능성이 낮아지자 어펄마는 가격을 대폭 낮춰 엑시트를 결정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지분 매각이 성사된 이후 어펄마는 2차 중재를 취하할 계획이다. 기관 관계자는 “어펄마가 국제중재에서 이길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상황에서 결국 낮은 가격으로의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신 회장은 지분 재매입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신한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에서 각각 1000억원씩, 총 2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어피너티와의 분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된다. 어피너티는 어펄마와 비슷한 시기에 풋옵션을 행사하며 주당 41만원의 가격을 주장해왔고, 이와 관련하여 국제중재 소송을 계속 진행 중이다. 신 회장은 지난해 말 확정된 2차 중재 판정에 따라 공정시장가격을 결정할 평가기관으로 EY한영을 선정하였고, 해당 기관이 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2~3개월이 소요될 것이라는 안내를 최근 ICC에 전달하였다. 교보생명과 신 회장 입장에서는 어펄마와의 분쟁 해결을 통해 향후의 경영 전략을 재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