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자동차의 CEO 짐 파를리가 수요일,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관세를 시행할 경우, 모든 국가에 대해 ‘포괄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와 한국의 현대 자동차를 지목하며, 이들 업체가 매년 수십만 대의 차량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차별적 관세 정책이 import 경쟁사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파를리는 기업의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우리가 관세 정책을 추진하는 경우, 이 정책은 우리 산업을 위해 포괄적이어야 한다”며, “어느 한 국가만 선택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우리의 수입 경쟁자에게는 큰 이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자동차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 이후에 나왔다. 현재 캐나다와 멕시코와는 25%의 수입세에 대한 협상이 진행 중이다.
아울러, 포드는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은 직원 수를 자랑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로서, 미국 내 투자에 대한 비전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점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모든 차량의 46.6%가 해외에서 생산된 것이며, 그 중 한국이 8.6%, 일본이 8.2%로 뒤를 이었다. 멕시코가 16.2%로 1위를 기록했다.
현재 한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는 관세가 없고, 일본에서 수입되는 차량에 대해서는 2.5%의 세금이 부과된다. 두 나라에서 수입되는 트럭은 25%의 관세 대상이다. 현대와 기아 외에도, 제너럴 모터스는 매년 수십만 대의 차량을 한국에서 세금 없이 수입하고 있다. 또한, 닛산, 혼다, 그리고 스바루와 같은 소규모 자동차 제조업체들 역시 일본에서 차량을 수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드의 요구가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