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AI 주식 급등…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의 영향”

의료 인공지능(AI) 관련 주식들이 최근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의 가능성이 제기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올트먼 CEO가 의료용 챗GPT 개발에 대한 언급을 한 것이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6일 기준으로 연초 대비 보로노이의 주가는 24.38% 상승했으며, 루닛은 13.48%, 제이엘케이는 13.13%, 뷰노는 11.16% 올랐다. 이러한 주가 상승은 샘 올트먼 CEO의 방한과 더불어 새로운 의료 AI 솔루션 개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올트먼 CEO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Builder Lab)’에 참석하며 의료 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HIPAA(미국 건강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러 관련 그룹과 협력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는 의료 AI가 의료 데이터 및 영상 분석, 진단 및 예측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미국 시장에서 의료 AI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발표되며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최대 50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포함하고 있으며, 바이오 관련 기업들은 AI 기술을 통해 항암 혈액 진단 및 암 백신 개발 등의 분야에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템퍼스AI의 주가는 올해 들어 105%나 상승했으며, 이는 AI를 활용한 진단 및 데이터 사업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며 신뢰를 얻었기 때문이다. 또한, 낸시 펠로시 전 미국 하원의장이 템퍼스AI 콜옵션을 매도함으로써 주식 상승에 더욱 탄력을 붙였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빅테크 기업들은 캔서X(CancerX)와 협력하여 의료 AI 분야에서의 도약을 노리고 있다.

그 중 루닛은 미국에서 항암 AI 진단 기술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향후 주가의 방향성이 영상 진단 매출 및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에 크게 달려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편, 제이엘케이는 뇌졸중 해결 솔루션으로서 상업화 과정에서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일본의 PM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는 제이엘케이의 기술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의료 AI들이 사업 성과를 가시화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이엘케이는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감으로 인해 주가가 3만원까지 상승했지만, 현재는 그 구체화에 따라 9220원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 AI가 예년처럼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테마로 부상하지 못하고 있어, 올트먼 CEO 방한으로 인한 주가 상승세가 차츰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