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국제파이낸스센터(IFC) 인수를 위한 대규모 투자자들의 물밑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M&G리얼에스테이트는 ARA자산운용으로부터 여의도의 콘래드 서울 호텔 수익증권 일부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콘래드 서울은 지난해 8월 ARA자산운용에 의해 약 4100억원에 인수된 5성급 호텔로, IFC 전체를 소유하고 있는 브룩필드자산운용의 분리매각 전략에 따라 ARA자산운용이 최종적으로 인수에 성공하였다.
ARA자산운용은 현재 IFC 내 3개 오피스 건물과 리테일몰 전체의 인수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번 M&G리얼에스테이트의 콘래드 서울 수익증권 매입은 단순 투자를 넘어서 ARA자산운용의 IFC 인수 작업에 참여할 것임을 암시한다. IFC의 가치가 3조원을 넘는 상황에서 ARA자산운용은 단독으로 인수하기에는 부담이 크다고 판단하여, 외부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중이다.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 또한 컨소시엄에 참여할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IFC는 외국인 투자 촉진법의 적용을 받아 전체 지분의 10%는 외국 자본의 투자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ARA자산운용은 일본계 스미토모 금융 리스의 지원을 받아 스미토모 그룹의 자금이 IFC 인수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블랙스톤, KKR(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 모건스탠리 등 여러 외국계 투자사들 역시 IFC 인수에 관심을 보였으나, 최근 국내 상업용 오피스의 고점 논란으로 인해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
IFC는 2016년 캐나다의 브룩필드자산운용이 2조5500억원에 인수한 자산으로, 당시 오피스 3개동, 리테일몰, 콘래드 서울을 패키지로 인수했다. 2022년에는 한 차례 공개 매각이 이루어졌으나,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약 4조1000억원에 IFC 전체를 인수할 계획이었던 것이 리츠 인가 미비로 무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브룩필드자산운용에 2000억원의 이행보증금을 지불하고, 반환 여부를 두고 싱가포르 국제중재센터에 중재 신청을 한 상태이다.
현재 IFC의 계약금 반환 소송에 대한 결과는 미비한 상황이며, 브룩필드자산운용은 지난해 상반기에 2조6700억원 규모의 IFC 담보 대출 리파이낸싱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순위 2조4000억원, 중순위 2700억원이 분할되어 진행되었으며, 자금 집행은 주로 국내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캐피탈사들이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