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기술주들이 화요일 상승세를 보였다. 이 상승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하고 캐나다 수출에 대한 관세도 연기했다는 소식에서 비롯됐다. 일본, 한국, 홍콩의 기술주들이 고르게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월요일 미국 시장의 손실이 줄어든 것과도 관련이 있다.
일본의 반도체 기업인 어드밴테스트(Advantest)와 레이저텍(Lasertec)이 각각 5%와 4.81% 상승하며 일본 기술주 가운데 두드러진 상승폭을 보였다. 그 외에도 도쿄 일렉트론(Tokyo Electron)은 2.82% 상승했고, 레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는 2.99%, 소프트뱅크 그룹(SoftBank Group)은 1.53% 상승했다.
아시아 기술주들은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중심의 인공지능 생태계에 도전하는 무료 오픈소스 언어 모델을 출시하면서 압박을 받았으나, 지난주 이들 주가는 반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월요일 관세 문제로 인해 그 반등세는 정체됐다.
한국의 기술주들도 화요일 거래에서 상승세를 보였으며,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는 4.13% 상승하고 SK 하이닉스(SK Hynix)는 0.63% 소폭 상승했다. 이번 상승세는 한국 시장이 4일 간의 휴장이 끝난 뒤 금요일에 보였던 약세에서 반전된 모습이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4분기 이익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압박을 받아왔다.
홍콩에서는 중국의 주요 기술 기업인 텐센트(Tencent)의 주가가 3.07% 상승했고, 쇼핑 플랫폼 메이투안(Meituan)은 5.06% 상승했다. 또한 전기차 제조업체 BYD의 주가는 4.22% 상승했으며, Xpeng은 14.46% 상승하고 리오토(Li Auto)는 9.35%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AI 관련 종목들도 활발하게 거래되었고, 알리바바(Alibaba)는 3.09%, 킹소프트 클라우드(Kingsoft Cloud)는 7% 상승했다.
중국 기업들의 주가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관세가 시행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를 예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세계 2대 경제 대국 간의 더 넓은 관세 전쟁을 회피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번 소식은 아시아 기술 주식의 긍정적인 흐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