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조업, 27개월 만에 확장 국면 진입…관세 유예로 회복세 기대

미국의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9를 기록하며, 2년 3개월 만에 50을 넘었다. 이로써 미국 제조업은 27개월 간 이어진 위축에서 드디어 확장 국면으로 전환에 성공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전쟁’ 보류 조치가 발표되면서, 그동안 관세 폭탄에 노출되어 있던 제조업계는 한시름 놓았다.

미국 공급자관리협회(ISM)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제조업 PMI는 시장 예상을 초과한 수치로, 이번 수치는 전월의 49.2보다도 1.7포인트 상승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상은 제조업 경기가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미국의 제조업 PMI 지수는 2022년 10월 이후 줄곧 50 이하에서 주춤하던 중, 이번에 드디어 반전된 것이다.

특히, PMI의 하위 항목인 신규 주문 지수는 5개월 연속 상승하여 55.1을 기록하며 향후 제조업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불러왔다. 이와 함께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된 25% 관세를 한 달간 보류하기로 발표하자, 제조업체들은 공급망 재편의 시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ISM의 티모시 피오레 제조업조사위원장은 “제조업 확장 측면에서 관세가我们的 진전을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제조업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 나라와의 관세 전쟁이 재개되면 업계의 단기적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다.

오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대(對)캐나다·멕시코 관세가 보류됨에 따라, 자동차, 기계, 화학 분야의 제조업체들은 안정된 공급망 운영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되었다. ISM은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에 따라 원자재 가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중장기적으로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이끌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은 관세 전략으로 공급망을 재편해 생산과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려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들은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하면 결국 장기적인 이익이 창출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제조업을 재건하더라도, 전통적인 인력 기반 제조업 형태는 아닐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로보틱스 기술이 인간 작업자를 대체할 것이라는 예측이 그 이유다. 김학주 한동대 교수는 “선진국 제조업체들은 높은 인건비와 숙련공 부족, 부품 공급 인프라의 미비 등을 로보틱스 기술로 해결할 것”이라고 분석하며, 이러한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더불어, 저부가가치 제품은 여전히 인도와 같은 저임금 국가에서 대량 생산이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도 내놓았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국 제조업의 양상은 점차 고도화되고, 기술 혁신이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