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은 4일 포스코퓨처엠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26만7000원에서 14만7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은 포스코퓨처엠의 4분기 연결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37% 감소한 723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손실이 413억원에 달하는 등 부정적인 실적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지배주주순손실은 2662억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수치이다.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부문은 미국과 유럽에서의 전기차 판매 부진으로 큰 타격을 받았고, 제너럴모터스(GM)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고 있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음극재 부문 역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관련하여 규정 적용의 연기로 인해 매출이 35% 줄어드는 등 부진한 성과를 이어갔다.
하나증권은 포스코퓨처엠이 올해 1분기에도 매출 7616억원, 영업손실 22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4분기에 발생한 일회성 비용이 사라지면서 영업이익률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비록 배터리 업황이 전반적으로 어렵지만, 포스코퓨처엠과 포스코그룹은 리튬 등 업스트림 공급망을 글로벌 주요 지역에 구축하여 앞으로의 성장기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인조흑연과 전구체, 미드니켈 양극재 등 신사업 추진에 따른 초기 비용 증가와 향후 2027년까지 가파른 수요 증가에 대한 증설 과정에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나증권의 김현수 연구원은 “공급망 수직 계열화에서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 여력이 큰 상황”이라고 전하면서도 “배터리 업황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단기적인 주가 반등은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유럽의 강화된 이산화탄소(CO2) 규제로 인해 전기차 수요가 회복된다면 2분기 중 확실한 주문 증가 시그널이 포착될 경우 선제적 매수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