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게 고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아시아 증시가 큰 타격을 입었다. 한국과 일본, 대만 등은 아직 구체적인 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일관되지 않은 관세 정책이 결국 아시아 대미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하는 국가들도 포함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퍼졌다. 이러한 우려는 아시아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결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일 한국의 코스피는 2453.95로 마감하며 2.52% 하락했다. 이로 인해 2500선이 붕괴되었고, 일본의 닛케이225와 대만 자취엔 또한 각각 2.66%, 3.53%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국의 주요 산업인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와 같이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대형 주식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의 주가는 2.67% 떨어졌고, 시가총액 10위권 내에서 기아는 5.78%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기아는 멕시코에서 생산된 차량의 62%를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기 때문에, 멕시코에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격 경쟁력이 크게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도요타도 5.01% 하락하는 등 미국 수출에 의존하는 주요 대기업들이 영향을 받았다. 신영증권의 박소연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예상보다도 강경할 것이라는 기대가 떨어지면서 증시 변동성이 더 심화되고 있다”라며, 캐나다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정치적 교착 상태로 인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워 3월 말 이후에야 시장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달러당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4.5원 하락한 1467.2원으로 마감되며, 지난달 13일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계속될 것이며, 원화 가치가 1450원 부근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의 서정훈 수석연구위원은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그로 인한 아시아 증시의 반응은 앞으로의 경제 흐름을 좌우할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국제적인 상황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