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와 유럽의 전력인프라 교체 수요 증가 전망

심영섭 티씨머티리얼즈 대표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북미와 유럽에서 노후 전력망 교체 주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중동 지역에서 대규모 스마트 시티 건설과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른 전력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티씨머티리얼즈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티씨머티리얼즈는 1995년에 설립된 회사로, 울산에 본사를 두고 구리를 활용하여 전력 인프라와 전장, 가전용 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심 대표는 대신밸런스제15호스팩과의 합병 상장을 앞두고 있으며, 이 통합을 통해 기업의 시장 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회사의 주력 사업인 전력 인프라 소재 부문은 초기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이어서 진입장벽이 높다. 현재 전력 인프라를 생산하는 기업은 HD현대일렉트릭, LS전선, 효성중공업 등이며, 이들 대기업에 연속전위권선 및 각동선(네모꼴 모양의 전선)을 공급하는 경쟁업체는 티씨머티리얼즈와 경쟁사 A사, 두 곳뿐이다.

심 대표는 “고객사가 정한 스펙에 맞춰 주문 생산을 진행하므로 경쟁사와의 기술적 차이는 적지만, 우리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초고압케이블용 소선절연선과 해저케이블용 각동선 덕분에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티씨머티리얼즈는 매출 2520억원, 영업이익 87억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잠정 매출액은 3040억원으로 집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팩 합병 상장을 추진하는 이유는 과거의 회생 이력을 극복하고 기업 가치에 대한 적절한 인정을 받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회사는 2019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기업회생 절차를 거쳤으며, 심 대표는 “제3공장 설립 시 부산 엘시티 사태로 인해 신규 대출이 원활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자금 여력이 초과한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산 매각과 같은 자체적인 자구 노력을 통해 빠르게 정상화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티씨머티리얼즈가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북미와 유럽의 전력망 교체, 중동의 스마트 시티 개발, 그리고 데이터센터의 구축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 회사의 미래에도 긍정적인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