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 방패 강화 의지 표명… 미국은 북한 비핵화 지속 강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무기 연구소를 직접 방문하며 북한의 핵 방패 강화 방침을 분명히 했다. 반면, 미국 백악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주장하며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어 양국 간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2기 들어 북한 비핵화 문제를 재점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핵 관련 정책을 두고 미북 간의 치열한 기싸움이 펼쳐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과의 대화를 원한다고 언급하며 북한에 대한 ‘러브콜’을 보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이에 대해 즉각 반응하지 않고 오히려 핵무기 강화를 선언하는 모습은 북한의 대화 의지가 부족하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백악관은 북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다시 피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29일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현장 지도하면서 “핵대응 태세를 한계를 모르게 진화시키는 것은 우리가 견지해야 할 확고한 정치 군사적 입장”이라는 말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북한이 자국의 군사적 우위를 강화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으며, 김 위원장은 국내외의 안정과 자국의 주권 수호를 위한 핵 방패의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가장 불안정하고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하다”며 각 국가의 주권과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핵 방패의 강화를 반드시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은 사실상 외부의 위협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서 핵무기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편, 백악관의 브라이언 휴스 국가안전보장회의 대변인은 28일 북한의 완전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회기초기와 마찬가지로 북한 비핵화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은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대화에서 비핵화에 대한 한층 강경한 입장을 각인시켰던 점을 상기시킨다. 다만, 휴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이번에도 강인함과 외교적 접근을 통해 비핵화 공약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북한의 핵 방패 강화와 미국의 비핵화 추진 의지 사이에서 양국 간의 상호 작용은 불가피할 것이며, 이러한 기싸움은 향후 미북 간의 정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적 노력은 지속되겠지만, 양측의 입장이 서로 엇갈리고 있어 실제 협상이 성사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