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핀테크 기업들이 전통의 사적 금융 산업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들 기업은 독점성과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정의되던 전통적인 사적 은행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며,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을 통해 더 빠르고 효과적인 자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핀테크 기업 아르타 파이낸스는 작년 10월 싱가포르에서 출범 이후, 소셜 미디어에서 AI 기반 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당신의 사적 은행이 이런 것을 제공할 수 있나요?”라는 슬로건으로 고객을 유도하고 있다. 아르타는 최소 투자금액을 25,000달러로 낮춰 일반 사적 은행이 요구하는 200,000에서 250,000달러의 기준을 크게 하향 조정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더 많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자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있다.
모모, 인기 있는 거래 및 투자 플랫폼도 이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모모 프라이빗 웰스는 1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가진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적인 관계 관리와 전문적인 거래 팀을 통해 더욱 광범위한 금융 자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 모모의 CEO인 가빈 치아는 고객들에게 투자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여 기술 중심의 플랫폼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보완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싱가포르의 금융 당국에 따르면, 현재 40여 개의 ‘부유한 고객을 위한 금융 기술 기업’이 시장에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를 겨냥하고 있다. 맥킨지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고액 자산가들은 총 21.7조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핀테크 기업에 엄청난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핀테크 기업들이 직면한 도전 과제도 분명하다. 아르타와 모모를 포함한 신규 진입자들은 다수의 고객 유치를 통해 비용을 회수해야 하며, 로보 어드바이저의 수익률이 낮아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조 달러의 자산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고객이 핀테크 플랫폼에 자산을 배치하는 것이 기존의 사적 은행보다 덜 신뢰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디지털 혁신의 일환으로 일부 사적 은행들은 AI와 디지털화에 집중투자하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DBS 프라이빗 뱅크의 ‘피지탈’ 전략이 이를 잘 보여준다. DBS는 고객들이 앱을 통해 연중무휴 거래 및 포트폴리오 관리를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핀테크의 부상은 아시아의 부유층이 더 많은 선택의 기회를 갖게 하며, 이전보다 더 경제적이고 정교한 자산 관리 솔루션에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새로운 세대의 부유층은 기술적 편안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중심의 금융 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쟁은 결국 사적 은행 산업의 혁신과 적응을 이끌어낼 것이고, 이는 부유한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혜택을 가져다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