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한 김종영미술관에서 83세의 원로 조각가 임송자 작가의 초대전이 열리고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컨템퍼러리’ 연작을 포함한 주요 조각작품 20여 점이 공개되고 있다. 전시는 3월 23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임송자 작가는 주로 인물상을 다루며, 일상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감정을 조각에 담았다. 그의 작품은 학교의 친구들, 친척, 여성, 청년들, 그리고 재난 속에서의 생존자들 등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그의 작품은 억압과 불안, 환희와 아름다움의 복잡한 감정을 표현하며, 이러한 주제들은 임 작가 개인의 이야기도 포함된다.
임송자 작가는 1963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한 뒤, 생업과 작가 활동을 병행하면서 1976년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났다. 당시 한국 미술계가 서양의 현대미술을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임 작가는 로마 미술 아카데미에서 전통 조각 훈련을 받았다. 그는 전통적인 조각의 매끈한 표면 작업을 벗어나, 손으로 흙을 붙여 거친 질감을 살리는 독자적인 예술 언어를 구축했다.
‘컨템퍼러리’ 연작은 임 작가가 이탈리아 북부 라벤나에서 단테를 기념하는 전시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는 당시 이탈리아어에 대한 이해 부족 속에서도 단테의 서사시를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며, 고전의 현대적인 의미를 고민하였다. 그렇게 태어난 ‘컨템퍼러리'(1978)는 여러 동료의 얼굴을 콜라주하듯 만들어내며 많은 호응을 얻었다. 전시장에 배치된 ‘컨템퍼러리’ 연작에서는 팔을 걷어붙인 여성과 쭈그려 앉은 남자아이와 같은 평범한 인물들이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관객에게 다가온다.
임송자 작가는 60년 이상 인체 조각 및 소조 작업에 전념해 왔으며, 그의 작업 실적은 손으로 일일이 조각을 만들기 때문에 거친 표면으로 설명된다. 그는 “손이 가는 대로 작업했으며, 약체로 태어난 덕분에 이러한 스타일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의 작품 수가 대부분 한 아름 안에 쏙 들어갈 만큼 작은 이유는 평생 큰 작업실을 가져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소소한 삶의 이야기와 사람들 간의 관계를 조명하며, 관객에게 친숙한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이 전하는 동시대 사람들의 감정을 느끼고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