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외 투자 급증… ‘주식 이민’ 현상 두드러져

일본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며 ‘주식 이민’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 금융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개인 투자자들은 총 10조4000억엔, 약 954조원의 해외 금융상품을 순매수하며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무려 147% 증가한 수치로, 일본의 신(新)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가 이러한 추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신NISA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국민의 노후자산 증대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이 제도는 투자자들이 펀드와 주식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특히 비과세 기간을 평생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연간 납입 한도액을 크게 늘렸다. 그 결과, 일본 개인 투자자들은 수익성이 높은 미국 증시 등 해외 투자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올해도 이러한 해외 투자 열풍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일본 재무성의 보고서에 따르면, 1월 셋째 주 동안 일본 투자자들은 해외주식과 해외투자펀드를 6주 연속으로 순매수했으며, 이는 2022년 9월 이후 두 번째로 큰 주간 순매수액이다. 반면, 같은 기간 일본 내 주식 및 투자펀드는 순매도됐다.

이러한 현상은 엔화 가치 하락을 초래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일본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 투자 확대를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방어를 시도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엔화를 매도하고 해외 자산에 투자하다 보니, 자연히 엔화의 가치가 하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JP모건 연구원은 엔화 약세의 주요 원인으로 일본 가계의 현금 보유량이 많고, 해외 투자를 늘리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일본의 기업들은 이러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주식시장에서 100주 단위로 주식을 거래하다 보니 개인 투자자들의 접근이 어렵다고 판단해, 많은 기업들이 주식 액면 분할을 통해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도쿄증시에서 주식을 액면 분할한 기업은 211개로, 이는 7년 만에 최대치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일본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금융상품 투자 증가는 ‘주식 이민’이란 새로운 경제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엔화 약세와 일본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